안녕하세요~ 경제를 알기쉽게 알려드리는 경제앵무새입니다.
주당순이익인 EPS와 함께 중요하게 봐야 할 주식 " PER주가수익비율 "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ER 뜻, 계산,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에 대해 함께 알아보고 종목 선정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주식 재무제표 보는 법 1탄_ ROE(자기자본이익률), ROA(총자산수익률) 뜻 알아보기 feat. 저평가주 고
안녕하세요 :-) 경제앵무새입니다. 오늘은 주린이 탈출을 위한 재무제표 보는 법 1탄으로 ROE, ROA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종목선정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할 지표 중 하나로 "ROE 자기자본
economyparrot.tistory.com
주식 재무제표 보는 법 2탄_ EPS(주당순이익) 뜻, 활용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경제를 알기 쉽게 알려주는 경제 앵무새입니다.지난시간에 알아본 ROE, ROA에 이어서오늘은 주식 재무제표의 중요한 기초개념인 "EPS"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기업가치와 주가의 수준
economyparrot.tistory.com
# PER (주가수익비율) 뜻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은 주가를 예상순이익(1주당 순이익, EPS)으로 나눈 것으로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금과 주가를 비교해 주가가 고평가되어있는지 저평가되어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됩니다.
국내에서는 '퍼'라고 읽으며 미국에서는 P/E, PE라고 표기하기도 합니다.
쉽게 말해 현재 주가가 고점인지, 저점인지 알아볼 수 있는 척도가 됩니다. 현재 주가에 비해 1주당 순이익이 낮을 경우 per이 높다고 하고, 주식이 고평가되어있다고 할 수 있으며, 현재 주가에 비해 1주당 순이익이 높을 경우 per이 낮으면 해당 주식이 저평가되어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시) (기업A)주가 10,000 원짜리 기업이 주당 1,000 원의 순이익이 났다면 PER은 10배가 됩니다.
(기업B)반면 주가가 3,000원인 기업이 똑같이 주당 1,000원의 순이익이 났다면 PER은 3배인 것이고,
두 기업을 비교하면 주가가 3천원인 기업이 약 3배 이상 저평가되어있는 셈입니다.
다른 외부변수를 제외하고 기업의 주가가 현재 비싼지, 싼지만 놓고본다면 B기업이 더 메리트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PER이 높은 기업, 즉 고퍼주는 해당 기업에 대한 기대심리가 반영되어 있다!
-> 해당 기업이 실질적으로 버는 돈(당기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게 평가되어있다는건 기업의 미래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PER (주가수익비율) 계산
PER = 주가 ÷ 예상 주당순이익(EPS)
PER의 계산식입니다. 주가가 분자이고 1주당 순이익인 eps가 분모입니다.
해석하는 방법은 4가지가 있는데요.
먼저 1) 주가가 그대로인 경우, eps가 높아질 때 -> per이 낮아진다.
2) 주가가 그대로인 경우, eps가 낮아질 때 -> per이 높아진다.
3) eps가 그대로인 경우, 주가가 높아질 때 -> per이 높아진다.
4) eps가 그대로인 경우, 주가가 낮아질 때 -> per이 낮아진다.
이렇게 해석해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저희가 주목해야 할 경우는 PER이 낮아지는 1번과 4번이 됩니다.
주가가 그대로이지만 주당순이익이 높아지면 영업이익이 늘고있다는 의미가 되므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1)
주당 순이익이 그대로이지만 주가가 낮아진다는 것은 현재 주가가 저점에 있다는 뜻이므로 투자하기에 좋은 타이밍이 됩니다.(4)
보통 per을 위의 PER = 주가 ÷ 예상 주당순이익(EPS) 식으로 많이 나오는데, 이렇게 보면 이해하기가 어려울 수 있어서 위에 표를 가져왔습니다.
기업의 온전한 순수익인 당기순이익을 시가총액과 비교한 개념이라고 보시면 편한데요.
예시로 상장한 편의점에서 1년에 10억을 순수익으로 버는데, 시가총액이 100억이라고 할 경우 per이 10배가 되는 것 입니다.
# PER (주가수익비율) 활용하기
1. EPS를 활용해 적정주가를 알아보자.
예상 주당순이익인 EPS에 시장평균 PER을 곱하면 적정주가를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예시) 예상 eps는 1,000원 x 동일업종 평균 PER 12배 = 적정 12,000원
현재주가가 15,000원이라면 -> 3,000원 비싸므로 고평가
현재주가가 10,000원이라면 -> 2,000원 싸므로 저평가
따라서 향후의 1~2년 후의 PER을 예측하려면 예상 주당순이익을 알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당순이익인 EPS는 매 결산기와 분기별로 발표됩니다.
투자 전에 네이버 주식과 같은 증권창에서 확인하거나 증권사의 HTS를 통해 적정주가를 알아보면 좋겠습니다.
2. PER이 낮은 주식을 찾아 투자하자. -> 일반적으로 PER 10 이하
일반적으로 per이 낮다는건 투자한 돈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빠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영업이익이 높아지는 성장기업에 주가가 반영이 덜 된 경우(아직 싼 경우), "싸게" 주식을 구매하면 조금만 올라도 수익이 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일반적으로 PER이 10 이하인 기업의 주식을 보고 저퍼주라고 부릅니다.(저PER주)
그렇지만 PER은 업종별, 산업별로 평균치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업종에서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업의 특성이나 업종별로 다르기때문에 per이 낮다고해서 무조건적으로 투자하는 태도는 옳지않습니다.
예로 신약을 개발하는 기업은 per이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이미 주식이 고평가)
이는 투자자들의 기대심리가 크게 반영되어있기 때문이고, 신약개발에 성공만하면 대박주식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실질적으로 신약개발은 성공하기 어렵기때문에 하락세로 갈 리스크도 큽니다.
기술주나 벤처기업 등 코스닥에 상장된 성장기업도 PER이 높은 종목이 있는데요.
이러한 종목은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기 때문에 주의하셔야합니다.
우량 대기업은 이미 성장이 많이 되어있다는 인식이 있어서 더 이상의 호재를 크게 기대하지않는데요.
그래서 오히려 대기업의 PER이 낮게 형성되어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3. 한국과 미국의 평균PER을 알아보자. / 업종별 PER을 알고 투자하자.
한국 - PER 19배
미국 - PER 29배
한국은 미국에 비해 주식이 저평가되어있다는 말을 들어보셨을텐데요.
2018년 코스피기준 한국의 PER이 9.1이었던 반면에 현재 2024년 7월 17일 기준 PER이 19까지 올라온걸 알 수 있습니다.
미국은 S&P500을 기준으로 봤을때 평균 per이 20이라는 말이 지배적이었는데
2018년 17.5 , 현재 2024년은 per 29배로 한국보다 10배정도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보다 배당률이 높기도하고, 성장가치를 더 크게 본다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그러한 여러 기대심리들이 주가에 반영이되어 per 수치가 커진 것이겠지요.
평균치가 그렇고 업종별로는 차이가 크니 투자 전 꼭 한국거래소나 증권창에서 보고 가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재테크 A to Z'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대선 트럼프 집권에 대비하자 | 트럼프 해리스 지지율, 트럼프 수혜주 알아보기 (0) | 2024.08.21 |
---|---|
미국 ISM 제조업 구매자지수 | PMI 지수 뜻 알아보기 (0) | 2024.08.16 |
엑슨모빌 XOM 배당주 주식 분석하기 | 엑슨모빌 주가, 배당금, 배당률 (2) | 2024.06.21 |
주식 재무제표 보는 법 2탄_ EPS(주당순이익) 뜻, 활용법 알아보기 (26) | 2024.05.14 |
주식 재무제표 보는 법 1탄_ ROE(자기자본이익률), ROA(총자산수익률) 뜻 알아보기 feat. 저평가주 고르기 (10) | 202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