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A to Z

미국 ISM 제조업 구매자지수 | PMI 지수 뜻 알아보기

by 경제 앵무새 2024. 8. 16.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 경제를 쉽게 알려주는 경제앵무새입니다.

이번엔 미국 시장의 흐름을 읽기위한 방법으로 미국 경제지표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그 중 최근 뉴스에 나오기도 했는데, 많은 분들께 생소하실 수 있는 

 

ISM 제조업 지수와 PMI 지수(구매 관리자 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재의 경제 상황과 향후 경제의 전망에 대해 알 수 있는 지표니 두고두고 알아두면 좋겠습니다!

 


 

 

# ISM 제조업 지수란?

 

요약 : 미국 기업들의 생산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지수로, 미국의 민간단체인

공급관리자협회(ISM, Institute for Supply and Management)가 매월 초에 발표


 

ISM 제조업지수는 미국 실물경제의 대표적 선행지표입니다.

 

미국에는 민간단체인 공급관리자협회(ISM :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라는 모임 있습니다.

제조업에서 쓰는 자재들을 관리하는 자재부의 모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급관리자협회(ISM)에서는 제조업체에 근무하는 자재부서들을 대상으로

신규주문, 생산, 고용, 재고, 고객의 창고에 있는 재고, 원자재가격, 원자재 배송속도, 수주잔량, 수출, 수입 등

자재에 관해 여러 가지 설문을 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를 모아서 매월 첫번째 평일에 발표를 하고 있습니다.

즉, ISM 신규주문지수, ISM 생산지수, ISM 고용지수, ISM 재고지수, ISM 수출지수 등의 이름으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미국 20개 산업의 300개 제조업체들에게 신규주문·생산·출하정도·재고·고용상태 등 5가지 분야에 대해

전월 대비 '개선(better)', '불변(no change)', '악화(worse)' 방식으로 조사합니다.

 

이 지수가 50 이상이면 제조업의 확장을, 50 이하이면 제조업의 수축을 의미합니다.

또 40으로의 접근은 불경기 심화, 60으로의 접근은 경기과열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SM 신규주문지수가 상승한다는 것은

만약 신규주문이 증가하고 있다면 그만큼 주문수량을 맞추기 위해 공장 가동 - 인력 및 설비 증가 - 투자 증가로 이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ISM 신규주문지수가 상승하고 있다면 이것은 앞으로 경제 전망이 좋다는 것을 의미하게 됩니다.

 

직관적으로 신규주문지, 생산, 고용, 수출이 느는 것은 좋은 의미이고, 재고가 늘어나는 것은 앞으로의 경제전망이 좋지않음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됩니다.

 

 

 

매월 경제지표 중 가장 먼저 발표되기 때문에 앞으로 발표될 지표들의 분위기를 가늠해 볼 수 있고, 앞으로의 시장전망을 예측하는데 쓸 수 있습니다.

제조업의 정확한 성장률을 보여주기보다는 전월과 비교한 상대적 호전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한국은행과 전경련에서 발표하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 business survey index)가 ISM 제조업지수와 비슷한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PMI 지수(구매 관리자 지수) 뜻

 

PMI 지수는 `Purchasing Managers` Index, 구매관리자지수 라고 합니다.

미국 구매관리자협회인 NAPM(National Association of Purchasing Management)이

매달 회원 약 300명에게 기업의 신규 주문, 생산, 재고 등을 조사한 후 가중치를 부여해 수치화한 것으로,

제조업체 구매 담당자들이 현재와 향후 경제를 어떻게 전망하는지를 나타냅니다.

 

구매자관리지수(PMI)는 0~100 사이 수치로 나타내는데, 이 지수가 50 이상이면 제조업 확장과 경기 확장을,

50 미만이면 제조업 수축과 경기 위축을 의미합니다.

 


 

 ISM지수에서 파생된 것이 PMI 지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급관리자협회(ISM)에서 발표하는 모든 지수를 전부 살펴보기 어렵기 때문에 공급관리자협회(ISM)에서는

 PMI지수(Purchasing Manager Index, 구매관리자지수)라는 것을 만들었습니다.

 

공급관리자협회(ISM)에서 하는 수많은 설문조사 중에서 경제 변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신규주문, 생산, 고용, 원자재 배송속도, 재고’에 대한 설문조사 값을 종합해 PMI지수라는 것을 만든 것입니다.

우리가 경제기사에서 보는 미국 ISM 제조업지수는 보통 PMI지수를 의미하게 됩니다.

 

만약 ISM 제조업지수가 50에서 51로 상승을 했다는 기사가 보게된다면

. ‘신규주문, 생산, 고용, 원자재 배송속도, 재고’ 5가지 지표를 살펴보았을 때

앞으로 경제가 좋아질 가능성이 ‘1’만큼 더 높아졌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공급관리자와 구매관리자는 같은 의미입니다.

이전에 공급관리로 썼던 명칭을 구매관리자로 변경해 사용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ISM 지수와 PMI 지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결국 ISM 지수를 간소화해 보는 사람이 편하게 경기전망을 할 수 있도록 만든 지수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음 편도 미국 경제지표로 돌아오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