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경제 앵무새입니다.
오늘은 연금저축계좌에서 차곡차곡 모으기 좋은 국내상장 ETF 소개하려고 합니다.
투자종목 추천이라기엔 너무 유명한 ETF인 "TIGER 미국 S&P500" 인데요.
TIGER 미국 S&P500을 소개하고, 어떻게 운용되는지, 수익률과 구성종목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TIGER 미국 S&P500 이란?
TIGER 미국 S&P500 ETF는 미국 주식을 주된 투자대상자산으로 하며, “S&P500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S&P500 지수”는 S&P Dow Jones Indices에서 발표하는 지수로서, 미국에 상장된 종목 중 시가 총액 상위 500 종목을 편입시키는 미국 대형주 시장대표 지수입니다.
ETF명칭 : 미래에셋 TIGER미국S&P500 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
규모 : 1,947,290,331,417원 > 시가총액 1조 9470억원
상장주식수 : 137,450,000
거래단위 : 1주
최초상장일 :2020.08.07
기초지수 : S&P500 Index
52주 최고/최저 : 15,050 | 12,000
자산운용사 : 미래에셋자산운용(주)
운용방법 : S&P Dow Jones Indices에서 발표하는 “S&P 500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는 상장지수투자신탁으로서, 미국에 상장된 주식에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60% 이상 투자합니다. 다만, 이 투자신탁은 해외 주식에 투자하면서도 환헤지를 하지 않으므로(환노출) 1좌당 순자산가치는 기초지수의 원화환산 수익률에 연동하게 됩니다.
***통화가치변화에 따라 수익률이 영향을 받음을 의미
< 틈새 상식 >
*환헷지 : 환율 변동성 예방을 의미, 환율이 매매 당시 단가로 고정됨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주가에만 신경쓰면 되므로 변동성을 없애준다.
*환노출 : 환율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 통화가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는다. 달러로 구매한 해외자산이 매수시점보다 매도시점에 달러가 비싸지면 환노출이 유리하다.
환헷지 ETF : '주가'변화에만 영향받지만, 수수료 있음
환노출 ETF : '환율'변화와 '주가'변화 둘 다 영향받음
***그래서 환헷지형 ETF는 일정수수료를 내고 계약을 함
설정단위(1CU) : 1CU(50,000좌)
총 수수료(보수) : 연 0.07% (운용: 0.05%, 지정참가: 0.001%, 신탁: 0.01%, 일반사무: 0.009%)
과세: 매매차익은 배당소득세 과세(보유기간 과세) : Min(매매차익, 과표 증분) X 15.4% 분배금은 배당소득세 과세 : Min(현금분배금, 과표증분) X 15.4%
분배금 지급 기준일 : - 지급기준일 : 1,4,7,10 마지막영업일, 회계기간종료일(비영업일인경우 직전영업일)
- 지급시기 : 지급기준일 익영업일로부터 제7영업일 이내
# 구성종목 TOP 10 (비중순%)
1
Apple Inc 7.12%
Microsoft Corp 6.85%
Amazon.com Inc 3.22%
NVIDIA Corp 2.97%
Alphabet Inc 2.27%
Alphabet Inc 1.95%
Meta Platforms Inc 1.95%
Berkshire Hathaway Inc 1.71%
Tesla Inc 1.64%
UnitedHealth Group Inc 1.35%
#TIGER 미국 S&P500 1개월, 1년, 3년 수익률
출처 : 미래에셋 홈페이지
*회색 그래프 : S&P500 시장가격
*파란그래프 : 대표지수, 나스닥지수를 의미
1개월 수익률-3.42%
3개월 수익률-3.65%
6개월 수익률+1.61%
1년 수익률+5.16%
#TIGER 미국 S&P500 연금저축펀드에 적립식 투자
제가 실제로 하고있고, 추천드리는 tiger 미국 S&P500 투자법은 증권사의 연금저축펀드에 적립식으로 모아가는 방법입니다.
미국 시가총액 상위 500개 종목에 투자 = 미국에 투자 라고 봐도 무방하기때문입니다.
미국 S&P500에 장기적으로 투자하게 될 경우, 복리로 수익금이 쌓이기때문에
스노우볼 효과로 자산을 불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매달 100만원씩, 30년 장기투자를 했을 경우
10년 뒤 수익금 7950만원
20년 뒤 4.7억원
30년 뒤 16.5억원으로
누적 수익금이 변화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게 되려면 1. 매달 적금처럼 100만원 투자 2. 하락장에도 매도하지않는 강인한 멘탈 3. 꾸준한 수익률이 받쳐줘야하겠죠!
개인연금계좌에선 매년 기본세액공제 600만원씩 가능해서 급여수준에 따라 79만 2천원~99만원까지 절세가 가능하니
활용해보세요!!
600만원을 12달로 나누면 매달 50만원씩이니, 다른 저축보다는 먼저 연금저축계좌에서 절세도 하고, 투자+노후대비를 동시에 하시기를 추천드려요 :-)
개인연금에 관련해선 더 상세하게 포스팅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경제적 자유에 한 걸음! 경제 앵무새였습니다.
'재테크 A to Z'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HD ETF_ 미국배당성장 etf / schd 슈드 배당, 배당일, 구성종목, 단점, 1억 투자 시 배당금 (26) | 2024.02.10 |
---|---|
금융투자소득세 금투세 폐지 공식화 | 금투세 뜻, 시행, 세율, 유예 (24) | 2024.01.05 |
IRP 뜻, 계좌개설 및 활용방안 | IRP 절세 및 과세이연, 연말정산 세액공제 받는 법 (1) | 2023.12.23 |
TIGER 미국 나스닥100 | 연금저축계좌 투자종목 (2) (39) | 2023.10.31 |
적금 추천 금리높은 적금 : 케이뱅크 코드K 자유적금 (25) | 2023.10.19 |